class="layout-aside-right paging-number">
본문 바로가기
경제 치트키

명인제약 상장 완전정리 | 주가 전망과 체크리스트까지

by Alpha.K 2025. 9. 25.
반응형

코스피 상장(2025-10-01) 앞둔 명인제약을 한 번에: 공모가·청약 성과·총주식수·락업, 재무/설비투자·파이프라인, 시장(코스피) 분위기, 주가 전망(횡보→상승 가정)까지 담았습니다.
 
 
명인제약 상장을 앞두고 초보 투자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공모가, 총주식수·초기 유통물량(락업), 회사 핵심 사업과 투자, 그리고 주가 전망까지 핵심만 콕 집어 정리했습니다.
 
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, 판단과 책임은 독자님께 있음을 먼저 말씀드립니다.


 

 

목차

 

     


    초보자용 미니 용어 가이드

    아래 더보기로 확인하세요!

    더보기
    • 상장(IPO): 회사가 주식을 시장에 처음 내놓는 것
    • 주당 판매가격(공모가): 상장 전에 정한 “처음 파는 가격”
    • 회사 주식 총액(시가총액): 현재 주가 × 총 주식 수
    • 초기 유통물량: 상장 직후 실제로 거래 가능한 주식 수
    • 보호기간(락업/의무보유확약): 큰손(기관·기존 주주)이 일정 기간 팔지 않겠다고 약속
    • 기관 사전 주문(수요예측): 기관이 “이 가격에 이만큼 살게요”라고 미리 의향을 밝히는 절차
    • 청약: 개인투자자가 상장 전에 주식을 신청하는 것
    • 설비투자(CAPEX): 공장·기계 등 생산능력에 쓰는 돈
    • PER / EV·EBITDA: “이익 대비 기업가치가 몇 배냐”를 보는 잣대

    1) 상장 핵심 정보 한눈에 (일정·가격·물량·락업)

    항목 내용
    상장 시장/일정 코스피 / 2025-10-01(화)
    대표주관 KB증권
    확정 공모가 58,000원(밴드 상단)
    총 공모액(전량 신주) 약 1,972억 원
   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(공모가 기준) 약 8,468억 원
    총주식수(상장 후) 14,600,000주
    공모주식 수 3,400,000주(전량 신주)
    위 일정/공모가/시총/수요예측은 공모가 확정 기사와 기관수요예측 기사 기준으로 재확인했습니다.
    총주식수·공모주식 수는 별도 보도 자료를 함께 대조했습니다. 아이비토마토

     

    개인 청약 결과

    • 경쟁률 587.0:1, 증거금 약 17조 3,634억 원으로 집계. 흥행 신호로 해석됩니다. 조선비즈

     

    기관 수요예측

    • 기관 488.95:1, 의무보유확약 69.6%. 초기 유통 물량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상장 직후 수급에 우호적 요인입니다.

     

    포인트 : 전량 신주+높은 확약률 조합은 통상 초기 유통물량을 줄이는 효과 → 첫 주(또는 첫 달) 수급 탄력 가능.


    2) 명인제약 회사 정보 요약 (경영·재무·제품·전망)

    경영/방향성

    • 중추신경계(CNS) 중심의 전문 제약사. 상장을 성장 및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선택으로 밝힘. (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의지도 언급) 

     
    재무 스냅샷(연결, 2024)

    • 매출 2,694억 원 / 영업이익 928억 원 / 영업이익률 30%+(최근 3년 연속 30%대). 업계 상단의 수익성 체질이 강점. 

     
    주요 모멘텀 (제품/파이프라인·검색 키워드: ‘명인제약 에베나마이드 3상’)

    • 이탈리아 Newron에베나마이드(Evenamide) 국내 독점 계약, 글로벌 3상 진행 중(치료저항성 조현병 add-on). 국내 3상 승인 관련 업계 보도도 확인됩니다. 

    출처 : 미래를 보는 창 - 전자신문


    3) 공모 구조·초기 수급 체크 (상장 직후 주가 변동 이해)

    체크 포인트 시사점
    전량 신주 발행 차입 없이 현금유입 → 재무 유연성 확대
    의무보유확약(락업) 높음 초기에 시장에 풀리는 물량이 제한될 수 있음
    개인 청약 흥행 초기 수급·심리에 긍정적(단, 변동성 동반 가능)
    • 위 포인트는 공모 구조(전량 신주), 확약률 69.6%, 개인 청약 지표를 함께 고려했습니다.

    4) 자금 사용처·설비투자(CAPEX)·CDMO 로드맵

    • 펠렛 전용 생산공장(발안 제2공장) 신축 추진 → 2026년 시험가동·GMP, 2027년부터 연 2.5억 캡슐 이상 캐파 목표. CDMO(위탁개발·생산) 확대와 원가 구조 개선에 기여할 카드. 
    연도 이정표(가시화) 투자/의미
    2025 상장·자금 유입 설비/임상 재원 확보
    2026 발안2 시험가동·GMP 생산 안정화(초기 가동률 관건)
    2027 본격 양산(펠렛) CDMO 매출 확장 기대

    5) 산업/경쟁 환경 요약 (CNS 제약의 방어력)

    • CNS 치료제처방 지속성(Chronic)이 높고 수요가 비교적 방어적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.
    • 국내에서는 CNS에 강점을 가진 경쟁사들과 제품 포트폴리오·영업 채널·수익성에서 차별화가 관건입니다.
    • 명인은 고이익률 체질 + 제형 경쟁력(펠렛) + CDMO 확장을 성장축으로 제시했습니다. 

    6) 밸류에이션을 쉽게 : “비슷한 회사와의 단순 비교 + 멀티플 방식”

    • 이번 공모가는 PER 대신 EV·EBITDA 방식으로 시장 친화적으로 산정되었고, 최종 밴드 상단(5.8만 원)으로 확정.
    • 해석: 보수적 멀티플 적용 기조가 확인되어, 실적·모멘텀이 동반되면 재평가 여지가 열릴 수 있습니다. (구체 멀티플 수치 기재는 상장 후 모니터링 권장)

    7) 현시장(Top-down) 분위기 : 코스피 사상 최고치 구간

    • 2025-09-23 기준 코스피 3,486.19, 사상 최고치 경신. 최근 외국인 수급 회복과 대형주(특히 반도체) 강세가 지수 레벨을 끌어올렸습니다. 헬스케어 섹터 심리는 지수 레짐의 우호성에 좌우될 가능성. 한국경제

    8) 명인제약 주가 전망(개인적 의견, 참고용): ‘상장 직후 횡보 → 이후 상승’

    개인적 견해 (참고만 해주세요) : 상장 직후에는 락업에 따른 유통물량 제한청약 흥행이 맞물리면서 수급 탄력이 생길 수 있지만, 실적/이벤트 공백 구간에서는 횡보(기간 조정) 가능성이 큽니다.

    이후 설비투자 가시화(2026~2027), CDMO 수주/가동률, 에베나마이드 임상 진척, 그리고 현재 코스피 최고치 레짐의 유효성이 유지될 경우 점진적 상승 재평가 가능성을 봅니다.

    • 근거 요약
      1. 락업 69.6% & 청약 587:1/증거금 17.36조초기 수급 우호
      2. 펠렛 전용 공장 ’26 시험가동·’27 양산CDMO/원가구조 개선 기대(단, 초기 가동률 리스크).
      3. 에베나마이드 글로벌 3상 진행제품 파이프라인 스토리 보강. 
      4. 코스피 최고치권(수급 레짐) → 섹터 심리 바람막이. 한국경제

    • 주의/리스크: 약가·정책, 임상 지연/결과, 증설 실행(예: GMP·가동률), 보호예수 해제 전후 변동성.

    9) 리스크 & 체크리스트 (투자 전 필수 점검 필요)

    • 정책/약가 : 약가 인하·리베이트 규제 변화
    • 임상 : 에베나마이드 3상 일정·결과 불확실성
    • 설비/품질 : 발안2 GMP 일정·가동률 이슈
    • 수급 : 보호예수(락업) 해제 캘린더 전후 변동성
    • 경쟁 : CNS·제네릭 경쟁 심화

    한 줄 체크리스트
    [락업·유통비율] → [’26~’27 설비 타임라인] → [CDMO 수주/가동률] → [임상 마일스톤] → [분기 실적 추정치 상향/하향] → [시장(코스피) 레짐 유지 여부]


    10) 자주 묻는 질문(FAQ)

    Q. 개인 청약 경쟁률 587:1, 증거금 17조+면 무조건 좋나요?
    A. 초기 수급엔 긍정적일 수 있으나, 락업 해제·실적/이벤트에 따라 경로가 달라질 수 있어요. 단기 변동성은 열어두세요. 
     
    Q. 공모가 5.8만 원, 비싼가요?
    A. EV·EBITDA 방식으로 산정된 시장 친화적 공모가라는 점이 특징. 동종사 멀티플과 실적/모멘텀을 함께 보며 추적하세요. 
     
    Q. 언제부터 실적 모멘텀이 커질까요?
    A. 설비는 ’26 시험가동·’27 양산 계획. CDMO·원가 구조 개선이 가시화되는지 추적이 핵심입니다. 


    11) 함께 보면 좋은 글


    12) 마무리 & CTA

    명인제약은 CNS 중심 고수익 체질설비/파이프라인 모멘텀이 붙는 스토리입니다.
    다만 락업 해제·임상·증설 실행시간 이벤트에 민감하니, 달력형(캘린더) 추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해 주세요.
     
    여러분 의견은 어떠세요?

    • 상장 직후 횡보 후 상승 시나리오, 동의하시나요?
    • 추가로 궁금한 지표(유통물량, 보호예수 해제 일정, CDMO 수주 등)를 댓글로 남겨주세요.
     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/이웃추가로 인생 치트키를 응원해 주세요!

    13) 참고 문헌

    • 총주식수(1,460만주)·공모주식 수(340만주) → 블로터. 블로터
    • 개인 청약(587:1, 증거금 17.36조) → 조선비즈. 조선비즈
    • 펠렛 전용 공장 타임라인(’26 시험가동·’27 양산), 재무 스냅샷(’24) → 전자신문. 미래를 보는 창 - 전자신문
    • 시장 레짐: 코스피 3,486.19 사상 최고치(2025-09-23)한국경제. 한국경제

    위 내용은 2025-09-23 (화, Asia/Seoul) 기준 보도/자료를 교차 확인했으며,
    사실 관계와 숫자를 다시 한 번 검토해 반영했습니다. 문장 오탈자·수치 오류 유무를 최종 점검해 전달드립니다.
    (그래도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꼭 기억해 주세요.)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