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ass="layout-aside-right paging-number">
본문 바로가기
경제 치트키

2025 전세대출 규제 총정리|수도권 80%·90% 룰 핵심

by 라이프 해커 - Alpha.J 2025. 10. 6.
반응형

2025년 전세대출 규제 완전정리. 수도권·규제지역 보증비율 80%, 비수도권 90%, HF 전세보증 ‘90% 룰’까지. 계산표·Q&A·서류 체크리스트 포함.
 
 
안녕하세요, 인생 치트키입니다.

2025년 들어 전세대출 규제가 크게 달라졌습니다.
특히 “90% 룰”과 수도권 보증비율 80%가 겹치면서 저도 헷갈리더라고요.
 
이번 글에서는

  • 정책 배경과 취지,
  • 수도권 80% vs 지방 90% 차이,
  • 실제 대출 가능 여부를 가늠하는 계산표,
  • 필수 서류와 체크리스트

까지, 전세대출 규제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

 

 

목차

 

     


    왜 ‘90% 룰’이 나오고, 수도권은 왜 80%로 낮아졌나

    • 정책 배경: 2025년 6·27 대책에 따라 수도권·규제지역 전세대출 보증비율이 90% → 80%로 하향됐습니다(시행 2025.7.21). 가계부채 안정화와 갭투자 억제가 핵심 목적입니다.
    • 안전성 룰(90%): HF는 2025.8.28부터 심사를 강화해, 선순위채권+보증금이 집값 90%를 초과하면 보증 불가로 적용했습니다. 이는 임차인 보호용 안전마진입니다.
    • 두 기준의 차이
      • 90% 룰: 집값 대비 안전성 (담보 단위 심사)
      • 80%/90% 보증비율: 지역별 대출 보증 커버율
        → 실제 대출은 두 기준 모두 통과해야 가능합니다.

    핵심 공식 (간단 요약)

    • 안전성(A): 선순위채권 + 보증금 ≤ 집값 × 90% (법인 임대인 80%)
    • 보증비율(B): 수도권·규제지역 80%, 비수도권 90%
    • 순서 : A(안전성) 확인 → B(보증비율) 적용 → DSR 심사

    나는 가능한가? (예/아니요)

    1. 등기부 확인: 선순위채권(근저당 등) 있나요?
    2. 안전성(A): (선순위+보증금) ≤ 집값 ×90% → 넘으면 보증 불가.
    3. 보증비율(B): 수도권·규제지역은 80%, 지방은 90% → 대출 필요액이 보증 커버 안에 들어오나요?
    4. 1 주택자: 처분·전입 의무, HF 한도(수도권 1.8억/지방 2억) 확인.
    5. 은행 심사: DSR·소득·신용까지 통과해야 최종 실행.

    간단 계산표 (8개 케이스)

    케이스 집값 선순위 채권 전세보증금 합계 허용한도(집값×0.9) 결과
    1 3억 0 2.6억 2.6억 2.7억 가능
    2 4억 0.5억 3.2억 3.7억 3.6억 불가
    3 5억 1억 3.5억 4.5억 4.5억 가능
    4 6억 0 5.6억 5.6억 5.4억 불가
    5 7억 1.5억 4.8억 6.3억 6.3억 가능
    6 8억 2억 5.3억 7.3억 7.2억 불가
    7 9억 3억 5억 8억 8.1억 가능
    8 10억 0 9억 9억 9억 가능

    ※ 수도권·규제지역은 보증비율 80% 적용으로 실제 실행액은 더 줄 수 있습니다.


    주택유형·지역별 체크 포인트

    • 아파트/주거용 오피스텔: 시세·서류 명확 → 심사 원활
    • 빌라/다세대: 시세 산정이 까다로워 심사 지연 가능
    • 수도권·규제지역: 보증비율 80% 적용 → 자기 자금 필요분↑

    자주 묻는 질문(Q&A)

    Q1. 갱신 시 보증금이 오르면 90% 룰을 다시 보나요?
    → 네. 증액 후 기준으로 다시 안전성 심사를 합니다.
    Q2. “수도권 80%”와 “90% 룰”은 뭐가 다른가요?
    → 90%는 담보 안전성, 80%/90%는 대출 보증 커버율입니다. 둘 다 통과해야 실행됩니다.
    Q3. 공식 기준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?
    → HF 전세보증 안내(지역별 보증비율), 금융위원회 보도자료(정책 배경), 최근 언론 보도(HF 90% 심사 강화)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
    계약 시 필요한 서류 (체크리스트)

    • 기본: 신분증, 주민등록등본, 임대차계약서(확정일자), 계약금 영수증, 통장 사본
    • 소득·재직: 재직증명서/사업자등록증, 원천징수영수증, 소득금액증명
    • 부동산: 등기부등본, 건축물대장, 선순위채권 확인자료

    은행·보증기관마다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 있으니,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.


    한 페이지 요약

    • 안전성(A): 선순위+보증금 ≤ 집값 ×90% (법인 임대인 80%)
    • 보증비율(B): 수도권·규제지역 80%, 지방 90%
    • 순서: 안전성(A) → 보증비율(B)·DSR → 서류 제출
    • 주의: 갱신·증액·집값 하락 시 재심사 가능

    함께 보면 좋은 글


    2025년 전세대출 규제는 “안전성 90% 룰”과 “수도권 보증비율 80%”라는 두 축이 핵심입니다.

    • 내 상황이 애매하다면 댓글에 집값·선순위·보증금·지역을 남겨 주세요. 바로 계산해 드리겠습니다.
    •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·이웃추가·알림 설정으로 응원 부탁드립니다!

    참고자료 및 출처

    반응형